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북러 밀착 가속…윤대통령, 유엔서 '경고 메시지' 주목

2023-09-19 0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북러 밀착 가속…윤대통령, 유엔서 '경고 메시지' 주목<br /><br /><br />4년 5개월 만에 정상회담을 연 북한과 러시아가 회담 이후 다양한 분야의 교류 협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왕이 중국 외무부장은 미국에 이어 러시아 외교수장을 만나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북러 정상회담에 이어 미중, 중러 정상회담까지 열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에 도착한 윤대통령은 북러 간 군사교류 움직임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낼 예정인데요.<br /><br />한미일이 공동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4년 5개월 만에 정상회담을 열고 군사협력을 과시한 북러가 회담 후에는 관광, 문화,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협력을 넓혀가는 모양샙니다. 평양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운행하던 정기 항공편 운항을 곧 재개한다고 하던데, 중국에 이어 러시아까지 국경을 개방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 항공 운항 재개가 구체적으로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요. 만약 실제 항공 운항이 재개가 된다면, 인력 이동과 함께 식량이나 무기 등도 항공편으로 운송이 될 가능성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러시아 천연자원부 장관 인터뷰에 따르면 이번 정상회담 기간 양국이 러시아 내 북한 유학생 쿼터 확대, 문화 교류 활성화 등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고 하는데요. 북러 정상회담에서는 군사 협력에 집중된 모습을 보여주다가 회담 이후 관광, 문화,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건데, 이건 어떤 의도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오는 11월에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교류, 협력 방안들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북한에서 양국 정부 간 위원회 회의를 열 예정이라고 합니다. 현재 북러 정상회담 결과가 담긴 합의문이나 공동 기자회견이 없었기 때문에 어떤 교류와 협력 방안들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는 상황에서 11월이면 시기가 좀 늦지 않을까요? 왜 11월이라고 한 걸까요?<br /><br /> 북러 밀착으로 미중 등 주변국들도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양새인데요. 그중 중국의 움직임이 가장 주목되고 있습니다. 중국 외교수장인 왕이 외교부장이 몰타에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난 데 이어 곧바로 모스크바로 날아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만났습니다. 북러 회담 중엔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었거든요? 중국의 행보,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?<br /><br /> CNN에 따르면 미중 간 경쟁구도를 고려할 때, 북러 밀착이 중국에게는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던데요. 중국은 북러 밀착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거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왕이 외교부장이 몰타에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서 이틀간 약 12시간에 걸쳐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하는데요. 미중 양측 모두 솔직하고 실질적이며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했는데, 외교가에서 이런 표현을 하는 것이 양측 간 이견이 존재했음을 에둘러 말할 때 쓰인다고 하던데, 미중 외교수장의 회동, 어떻게 보셨나요?<br /><br /> 러시아로 넘어간 왕이 외교부장은 러시아 라브로프 장관과 회담에서 "중국과 러시아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다"며 중러가 긍정적 발전 동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미중 회담과 비교해 볼 때, 러시아와의 회담은 어떤 점이 달랐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김정은 북한 위원장이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거란 관측도 나오고 있는데요. 10월엔 베이징에서 일대일로 정상회의가 열리는데, 여기엔 푸틴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. 김정은 위원장은 북중 정상회담을 택할지, 아니면 북중러 세 정상이 만나는 모습을 선택할지,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시간 순서상으로 볼 때, 9월에는 중국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열리고, 10월엔 중국 베이징에서 일대일로 정상회의가 있습니다. 그리고 나서 11월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데요. 북중러가 먼저 만나고 그 다음에 미중이 만나는 그림이 만들어 지게 될 텐데, 미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? 또 중국이 어떤 카드를 들고 바이든 대통령을 만날까요?<br /><br /> 어제 인천에서 국내외 석학들이 참석한 안보회의가 있었는데요. 여기에서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한국석좌 교수는 중국과 한국의 대화 재개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. 우리나라도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추진하고 있지만, 한중 정상회담 역시 필요해 보이는데요.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어제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관련된 이야기도 나왔는데요. 사실 미국이 북러 밀착을 경계하고 있는 이유가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인데, 이 전쟁이 장기화되면 국제사회에 또 다른 변수가 작용할 수도 있는데, 특히, 중국이 대만해협을 침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실제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윤대통령 유엔총회 참석 관련 이야기 좀 해 보겠습니다. 북한과 러시아의 노골적인 군사교류 움직임 속에 윤대통령이 유엔총회 참석합니다. 2년 연속 참석인데요. 한국 시간으로 모레(21일) 새벽 기조연설을 하게 되는데,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 거라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